연준, '양적긴축' '테이퍼링'에 대해서
현재 연준은 코로나19 시기에 풀어놓은 돈을 다시 회수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압박이 너무 커졌기 때문입니다. 이를 '양적긴축'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직접적으로 채권을 매각하고 다시 사들이지 않으면서 통화량을 줄이고 유동성을 억제하려는 것입니다. 또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치솟는 물가를 잡으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유동성 경색과 미국 증시 시장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높은 금리는 주식 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연준은 계속되는 인플레이션 속에서 목표 물가 상승률 2%까지 힘든 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우리도 그에 맞게 대응하기 위해서 양적긴축, 테이퍼링에 대한 사례와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양적긴축의 개념
양적 긴축은 중앙은행이 양적 완화 정책을 축소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통화량을 감소시키는 정책으로, 경기 과열이나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인해 양적 완화를 축소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양적 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장에 대량의 자금을 투입하여 경기를 부양하고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이었지만, 양적 긴축은 이러한 통화량 증가 정책을 축소하거나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양적긴축의 사례
양적 긴축의 사례 중 하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2017년부터 양적 완화 정책을 축소한 것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양적 완화를 통해 시장에 대량의 자금을 투입하여 금리를 인하하고 경기를 부양하였습니다. 그러나 2017년부터 경기 회복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연방준비제도는 양적 완화 정책을 축소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국채와 모기지 채권의 매입 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양적 긴축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통화량을 축소시킴으로써 시장에 대한 자금 공급을 감소시키고 금리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3) 테이퍼링의 개념
테이퍼링은 양적긴축과 비슷하지만 조금은 다릅니다. 이는 중앙은행이 양적 완화 정책을 조금씩 축소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경기 회복이나 물가 안정화 등으로 인해 양적 완화 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정상적인 금융시장 조건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됩니다. 양적 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장에 대량의 자금을 투입하여 경기를 부양하고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이었지만, 테이퍼링은 이러한 양적 완화 정책을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4) 테이퍼링의 사례
테이퍼링의 사례 중 하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의 양적 완화 축소 정책입니다. 2013년에는 미국 경기 회복과 물가 안정화에 따라 연방준비제도가 양적 완화 정책을 조정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국채와 모기지 채권의 매입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테이퍼링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테이퍼링은 양적 완화 정책을 조금씩 축소함으로써 경제를 지속적으로 부양하면서도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금리 조건을 회복시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13) : 금융시장의 위기 '뱅크런' (2) | 2023.11.16 |
---|---|
경제 상식(12) : 기축통화(Key Currency)(基軸通貨) (0) | 2023.11.15 |
경제 상식(10) : 경기 부양 대책 '양적완화' 순기능과 위험 (1) | 2023.11.13 |
경제 상식(9) : 물가와 금리에 관계 따른 정책 방향 (2) | 2023.11.10 |
경제 상식(8) : 물가폭등+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