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양 대책'양적완화' 순기능과 위험
우선 앞서 '양적완화'란 중앙은행의 금리인하를 통한 경기부양이 한계에 부딪혀 직접 국채매입등 시장에 적극적, 직접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해 신용경색을 해소하고 경기를 부양시키는 목적을 가진 정책입니다. 우리는 얼마 전에 이 정책 속에 있었습니다. 3년 4개월 동안 전 세계를 위험에 빠트린 코로나 팬더믹 기간입니다. 이 시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시장경기가 위축되었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악영향을 우리는 직접 경험하게 됐습니다. 이에 중앙은행에서는 직접적으로 통화량을 늘려 경기를 부양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중앙은행에 '양적완화' 정책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정책으로 우리는 위기를 잘 극복하게 되었지만, 계속된 통화 유입과 금리인하 정책으로 인해 집값등 물가가 치솟게 되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오게 된 것입니다. 즉 화폐 가치가 떨어지게 된 것입니다. 최근에는 연준에서도 펜더믹기간 동안 많은 자금을 풀게 되어 다시 회수하려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을 줄여 인플레이션 압박을 줄이고, 시장 거품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양적긴축'이라는 정책을 채택한것입니다. 우선 우리는 양적완화의 정책에 대해 순기능과, 그에 따른 위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기 부양
경기 침체나 불황 시기에 중앙은행은 양적 완화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려고 합니다. 경기 침체, 불황 시기에는 소비 심리 위축, 구조적 위기 등 악역향으로 인해 시장이 전체적으로 얼어붙게 됩니다. 이에 중앙은행은 국채나 기업채를 매입하면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저금리 환경을 조성하여 기업 투자와 소비를 촉진합니다.
2) 금융시장 안정화
중앙은행은 양적 완화를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금융위기나 금융시장의 불안정 요소가 증가할 때, 중앙은행은 국채나 기업채를 매입하여 시장의 신뢰를 회복시키고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3) 인플레이션 우려
양적 완화로 인해 통화량이 급증하고 유동성이 과다하게 제공될 경우,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제가 과열될 우려가 있으며, 시장 가격이 전체적으로 거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과 함께 금리 상승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금리 왜곡 양적 완화로 인해 중앙은행이 대규모로 채권을 매입하면서 금리가 인위적으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 메커니즘이 왜곡될 수 있고, 투자자들은 더 높은 리스크를 감수하며 수익을 찾기 위해 고위험 자산에 투자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화폐 가치 하락
양적 완화로 인해 통화량이 증가하면서 화폐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가상승, 시장가격의 거품 이 발행할 수 있습니다. 국외 상황으로는 수입품 가격 상승을 통해 수입이 줄어들고 수출이 증가하는 외환 조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12) : 기축통화(Key Currency)(基軸通貨) (0) | 2023.11.15 |
---|---|
경제 상식(11) : 연준, '양적긴축' '테이퍼링'에 대해서 (2) | 2023.11.14 |
경제 상식(9) : 물가와 금리에 관계 따른 정책 방향 (2) | 2023.11.10 |
경제 상식(8) : 물가폭등+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 (0) | 2023.11.03 |
경제 상식(7) : 물가상승과 하락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