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기'스태그 플레이션'
스태그 플레이션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테그네이션을 합친 합성어로 물가는 상승하는데 경기가 침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합성어 입니다. 보통은 경기 호황기 속에 물가가 상승하게(인플레이션) 되고 실업률은 낮아지게 되는 역의 상관관계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허나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는상승하지만 경기침체 속에 실업률은 낮아지게 되고 그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 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상태에 놓여지는 것입니다. 겪고싶지 않은 상황인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개념,유래,원인과 해결할 수 있는 정책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스태그플레이션의 개념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불황(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는 물가 상승을 완화시키는 반면, 인플레이션은 경제 활동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이 두 현상이 동시에 나타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2.스태그플레이션의 유래
스태그플레이션이 1970년대에 등장한 경제 상황을보게 되면. 당시 OPEC의 유가 인상으로 인한 공급 충격이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을 동시에 초래했습니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불황'을 의미하는 'Stagnation'과 '인플레이션'을 의미하는 'Inflation'을 결합한 'Stagflation'이라는 용어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3.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공급 충격, 과도한 경제 정책, 기대 인플레이션 등이 있습니다. 특히, 1970년대의 유가 폭등 등의 공급 충격이 대표적인 예로 지적되며, 이는 원유 의존도가 높은 경제에서 생산비용 상승을 초래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를 동시에 야기했습니다.
4.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정책 방향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합니다.
●통화 정책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제어하면서도 경기 침체를 악화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물가 안정을 유지하면서도 시중에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해야 합니다.
●재정 정책에서는 경기 부양과 고용 증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공공 투자를 통한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가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합니다.
●구조적인 개혁도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구조적 개혁을 통해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해야 합니다.
●국제 협력도 스태그플레이션 해결에 중요합니다.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화, 국제 원자재 가격의 안정 등을 위해 다양한 국가들과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복잡한 경제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 수단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 그리고 구조적 개혁은 스태그플레이션 해결의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경제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10) : 경기 부양 대책 '양적완화' 순기능과 위험 (1) | 2023.11.13 |
---|---|
경제 상식(9) : 물가와 금리에 관계 따른 정책 방향 (2) | 2023.11.10 |
경제 상식(7) : 물가상승과 하락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0) | 2023.11.02 |
경제 상식(6) : 금리와 채권의 관계 (1) | 2023.11.02 |
경제 상식(5) :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채권 '정크본드'(JUNK BOND) (0) | 2023.10.31 |